[강정수의 AI 투자전략] 트럼프 압박에도 연준 미국 기준금리 유지?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강정수의 AI 투자전략&' - 강정수 블루닷 AI연구센터장 [이번 주 증시 이벤트] ▲27일 (월) [휴장] 한국 [산업] 펄어비스 검은 사막 모바일 중국 서비스 종료, 2025 UAE 두바이 의료기자재 박람회(~30) - 한국 1월 소비자심리지수 - 미국 12월 신규주택매매 1월 댈러스 연준 제조업 활동 2년물, 5년물 국채 입찰 - 일본 11월 동행지수, 선행지수 ▲28일 (화) [휴장] 한국, 중국 - 미국 FOMC(~29) 12월 내구재 주문 1월 댈러스 연준 제조업 활동 리치몬드 연방 제조업 지수 - 일본 12월 PPI 서비스 미국 실적 : 제너럴모터스 ▲29일 (수) [휴장] 한국, 중국, 홍콩 - BOJ 12월 금정위 의사록 공개 미국 실적 :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테슬라 유럽 실적 : ASML ▲30일 (목) [휴장] 한국, 중국, 홍콩 - ECB 통화정책회의 - 미국 4분기 GDP, GDP 물가지수, 개인소비 - 유럽 4분기 GDP, 12월 실업률 미국 실적 :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알파벳, 스타벅스 ▲31일 (금) [휴장] 중국, 홍콩 [산업] DRAM·낸드 플래시 계약가격 발표 - 미국 12월 PCE 물가, 근원 PCE 물가지수, 개인소득, 개인소비지수 1월 MNI 시카고 PMI - 중국 12월 차이신 제조업 PMI - 일본 12월 실업률, 광공업생산, 소매판매, 주택판매건수 1월 도쿄 CPI, 근원 CPI 한국 실적 : 삼성전자 미국 실적 : 메타, 아마존, 보잉, 마스터카드, 퀄컴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설 연휴 기간, 뉴욕증시는 개장을 했었는데요. 우리가 쉬는 동안 이슈가 참 많았는데, 간밤을 비롯 이번 주 뉴욕증시 흐름은 어떻게 보셨습니까? (업데이트 예정) - ◇ 설 연휴 기간에 1월 FOMC가 진행됐죠.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인하에 대한 압박을 하는 듯했지만 연준은 기준금리 연 4.5% 유지를 결정했어요. 어떻게 보셨습니까? - 트럼프 압박에도 연준 미국 기준금리 유지? - 연준, 1월 FOMC서 기준금리 4.25~4.5%로 유지 - 트럼프의 금리인하 압박에도 인플레 우려 여전 - 파월 의장 &'트럼프 대통령과 접촉한 적 없어&' - 파월 의장 &'정책 입장 조정에 서두를 필요 없어&' - FOMC 성명서에서 &'인플레 목표 2% 전진&' 삭제 - 연준, 미 고용시장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평가 ◇ 테슬라의 지난해 4분기 실적도 발표됐죠.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이 나왔지만 성장 기대감에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상승하기도 했어요? - 테슬라,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주가 영향 미미? - 테슬라, 지난 29일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 - 테슬라 4분기 매출 257억·EPS 0.73달러 기록 - 테슬라 4분기 매출·EPS, 시장 예상치 밑돌아 - 테슬라 4분기 영업이익 15억 8300만 달러 기록 - 테슬라 4분기 자동차 매출 197억 9800만 달러 - 테슬라 &'가격 정책·금융 옵션 때문 판매 단가↓&' - 테슬라 2024년 자동차 판매량 178만 9226대 - 테슬라 역사상 처음 자동차 판매 성장세 꺾여 - 테슬라 &'2025년, 역사상 매우 중요한 해 될 것&' ◇ 테슬라 측에서는 올해가 매우 중요한 해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 FSD나 로보택시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나요? - 테슬라 실적발표 시 FSD·로보택시 언급은? - 테슬라 &'감독 필요한 FSD, 빠르게 개선 중&' - 감독 필요한 FSD, 인간 안전 수준 능가 목표 - 로보택시 위한 감독 없는 FSD 가능해질 전망 - 머스크 &'6월, 감독 없는 FSD 유료 출시 예정&' - 머스크 &'올해 미국 내 자율주행 택시 출시 계획&' - 로보택시 전용 사이버캡 개발…2026년 양산 목표 - 머스크 &'옵티머스, 점차 훈련 비용 감소될 것&' - 머스크 &'테슬라만큼 AI를 잘하는 회사는 없어&' ◇ 이번 주 AI 산업계에도 큰 이슈가 있었죠. 오픈 AI의 챗GPT 대항마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내놓은 AI 모델 딥시크 R1 때문이었어요? - 중국 &'딥시크&' 충격…AI 관련 기업 주가도 발칵? - 27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 AI 모델 R1 공개 - 딥시크 R1, 챗GPT 개발비 5.6% 사용해 개발 - ASML, 中 딥시크에 &'굿뉴스, AI 단가 낮아져야&' - 딥시크, 낮은 비용·뛰어난 성능…전 세계 발칵 - 오픈 AI CEO &'딥시크, 제작 비용 고려 시 인상적&' - 딥시크 &'이미지 생성 능력도 오픈AI 보다 우위&' - 딥시크 충격…엔비디아 주가 4%대 하락하기도 - 미국, 엔비디아 저사양 칩 중국 수출통제 검토 ◇ 딥시크 R1에 대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AI 차르 데이비드 색스가 지식재산권 침해 의혹도 제기했고, 오픈 AI와 마이크로소프트는 데이터 무단 수집 여부에 대한 조사도 착수했다고요? - 미 정부·오픈 AI·MS…중국 딥시크 조사 나서? - AI 차르 &'딥시크, 오픈 AI 지식재산권 침해 의혹&' - AI 차르 &'딥시크, 오픈 AI 모델 지식 증류 증거有&' - 증류, 다른 모델 출력 결과로 훈련·유사 기능 개발 - 오픈 AI &'中 기업, 美 기술 활용 AI 모델 개선 시도&' - 딥시크 R1, 美 기업 AI 앱에 필적한다는 평가 - 美 해군 이어 이탈리아도 &'딥시크&' 다운 금지 - 오픈 AI·MS, 딥시크 데이터 무단 수집 가능성 조사 - MS &'딥시크, 오픈 AI의 API 사용해 데이터 확보&' ◇ 딥시크뿐 아니라 중국의 알리바바도 새 AI 모델 큐원 2.5- 맥스를 출시했고, 이게 챗GPT나 딥시크를 능가한다는 주장도 했습니다. 센터장님께서는 어떻게 보세요? - 알리바바도 새 AI 모델 출시…미중 AI 전쟁 본격화? - 알리바바, 새 AI 모델 출시…&'GPT·딥시크 능가&' - 알리바바, 29일 새 AI 모델 큐원 2.5- 맥스 공개 - 알리바바 &'큐원 2.5- 맥스, 모든 영역에서 월등&' - 로이터 &'중국 AI 모델들의 &'국내 경쟁&' 격화&' - 중국 딥시크, 가성비 앞세워 R1 모델 출시 - 저비용 &'딥시크&' 역습에 미중 AI 전쟁 불붙어 - 트럼프 &'중국 딥시크…경쟁에 집중하라는 경종&' ◇ ASML CEO는 딥시크가 AI의 단가를 낮추는 것은 굿 뉴스라고 평가했습니다. 딥시크의 등장으로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의 AI 관련주들에 영향을 미쳤는데, 향후 엔비디아 등 AI 관련 기업 실적에도 영향을 끼칠까요? - 딥시크 &'가성비&' AI 등장…관련 기업 영향은? - ASML 푸케 CEO &'AI 단가 낮추는 것은 굿뉴스&' - 푸케 CEO &'단가 낮아지면 AI 활용도 높아져&' - AI 활용 확대, 반도체 생산 수요 증가로 이어져 - 푸케 CEO &'AI 산업, 고비용·에너지 비효율 문제&' - 저비용 내세운 딥시크…AI 본격 대중화 도화선 - 저커버그 &'딥시크 영향 언급 일러…AI 투자 계속&' - &'中 가성비 AI 어쩌나&'…SK하이닉스도 &'초긴장&' - 딥시크, 저비용에 챗GPT급…&'AI의 스푸트니크&' - &'이러다 美 맞먹을라&'…딥시크로 中 AI경쟁 가열 - 반도체주 &'딥시크&' 충격…&'中 사업 소부장株 기회&'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
윤진섭
|
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