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인사이트] 3,800선 턱밑까지 치솟은 코스피, 랠리 언제까지?
■ 머니쇼+ &'증시 인사이트&' - 신얼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장 간밤의 뉴욕증시는 3대지수 일제히 하락했는데요. 미국 지역은행들의 부실 우려가 영향을 미쳤어요. 반면 오늘(17일) 우리증시, 변동성이 상당했어요. 코스피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후 상승과 하락을 수차례 반복했네요. 그럼 오늘 &<증시 인사이트&> 출연자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신얼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장 모셨습니다. Q. 어제(16일), 코스피가 3700선을 돌파하며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어요? 개인은 1조 원 넘게 순매도했는데, 외국인과 기관이 1조4천억 원 넘게 순매수했더라고요. 이번 랠리, &'외국인 주도 장세&'로 봐야 할까요? - 3,800선 턱밑까지 치솟은 코스피, 랠리 언제까지? - 외국인, 9월 한 달 91억달러 순매수 - 코스피, 장중 3770선 돌파…또 사상 최고 - &'삼전·SK하닉 질주&' 코스피 3800선 육박 - &'10만전자 다 왔다&' 삼전 장중 9만9000원 찍어 - 주식시장 43억 달러 순매수…1년7개월來 최대 - 외국인, 8월 순매도→9월 순매수 전환 &'반전&' - 반도체 업황 기대감…외국인 자금 유입 견인 - 채권시장도 순매수 전환…쌍끌이 유입 본격화 - &'美 금리인하·원화안정이 자금 회귀 자극&' - 달러 약세+코스피 랠리…외국인 매수세 강화 - 외국인 자금 91억弗 유입…韓증시 신뢰 회복 - 반도체 중심 매수 집중…IT 대형주 수혜 - &'외인 귀환 본격화&'…코스피 4000 기대감 확산 Q. 보통 코스피 계속 오른다는 뉴스가 쏟아지면, 개인 투자자들이 못 참고 뛰어드는 경우가 많잖아요. &'옆집도 돈 벌었다&'는 말이 나올 때 시장은 꼭 천장을 찍는다는 말이 있는데, 지금 들어가도 될까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지금 이 장에서 신규 진입, 괜찮을까요? - 반도체 쌍두마차 삼전·하이닉스 또 신고가 - 코스피 4000 돌파 임박…&'AI 랠리의 연장선&' - &'지금이라도 들어가야 하나?&' 투자자 고민 - 외국인·기관 쌍끌이 매수, 개인만 망설여 - 4000피 코앞…다음 주도 섹터는 어디? - &'AI 슈퍼사이클, 아직 초입일 뿐&' 전망도 - &'이제는 자동차·전력·2차전지 순환장세&' - 코스피 신고가 행진…투자심리 &'조용한 열기&' - &'삼전 13만원, 하이닉스 58만원 간다&' 낙관론 - &'이 장, 과열보다 냉정이 더 무섭다&' - 금값 4,300달러 돌파…사상 최고치 또 경신 - 트럼프-푸틴 회담 예고…시장 긴장 고조 - 러 원유 재개 기대…유가 5개월래 최저 - 은값도 최고치 경신…귀금속 전반 강세 - 미·중 긴장 고조…안전자산 선호 확산 - 코스피 4000 돌파에도 시장 &'이상하리만큼&' 차분 - &'코스피 5000 간다&' 뉴스, 아직 안 나왔다 - &'고인물 수익 소식&'에도 개인 진입은 조심스러워 - 옆집 아줌마가 들어오면…그때가 고점? - 증권사 객장 유모차 줄, 아직 안 보인다 - 놀랍도록 조용한 신고가 장세, 이유는? - 개인 빠진 증시…외국인·기관이 주도 - 과열 대신 냉정, 이번엔 다른 시장? - &'이번엔 진짜 다르다&' 말, 또 고점 신호일까 - 성숙한 시장 vs 조용한 거품, 해석 엇갈려 Q. 삼성전자가 드디어 9만7천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가를 새로 썼는데요. 11개월 만에 주가가 96%나 올랐더라고요. 3분기 영업이익도 12조 원을 넘겨 어닝 서프라이즈였잖아요? 반도체 업황, 다시 슈퍼사이클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을까요? - KB &'삼성전자 목표가 13만원&'…8년 만 최대실적 - &'DRAM 단가·파운드리 호황, 동시 호재 전망&' - 2028년 AI 데이터센터 투자 1조달러 돌파 - SK하이닉스 1년새 170%↑…목표가 62만원 거론 - &'HBM 가치 30% 할증&'…AI 수요 폭발 반영 - &'하이닉스, 내년 영업익 62조 전망&'…슈퍼사이클 - HD현대일렉트릭, AI 전력수요 &'직접 수혜주&' 부상 - LS증권 &'목표가 80만원&'…추가 증설 여력 강조 - &'해외 경쟁사 대비 수익성·성장성 압도적&' 평가 - AI 인프라 3총사…&'반도체+전력&' 쌍두마차 부상 Q. 지난달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210만 대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더라고요? 2차전지 섹터 역시 급등하는 모습이었는데요, 2차전지주 급등이 일시적 반등일까요? &'EV+ESS 투톱 모멘텀&'이 돌아온 걸까요? - 글로벌 EV 판매 210만대…사상 최대 기록 - 코스피 3700 돌파…2차전지株 랠리 합류 - 테슬라 中 생산 확대 소식에 배터리주 급등 - LG엔솔 &'깜짝 실적&'…영업익 34%↑ -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 14%대 폭등 - 글로벌 전기차 판매 210만대 &'역대 최대&' - ESS 수요 급증…AI 시대 새 성장 축 부상 - PFE 규제 반사이익…국내 셀 수요 급증 - &'내년 신규 수주로 가동 공백 메운다&' - &'美 ESS 규제 강화, 韓 배터리 기회 확대&' - 한미 협상 마무리 임박…외국인 매수세↑ Q. 차기 연준 의장 후보로 거론되는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가 월러 이사는 &'노동시장 약화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이달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지지한다&'고 밝혔어요? 반면 스티븐 마이런 이사는 &'0.5%포인트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는데, 역시 신입보다는 월러 이사의 말에 더 무게가 실릴까요? - 월러 &'이달 0.25% 인하해야&'…신중론 고수 - &'실수를 피하려면 주의 깊게 가야 한다&' - &'성장·노동시장 균형 불확실&'…연준 고심 - 마이런 &'0.5% 빅컷 필요&'…속도전 주장 - 트럼프 측근 마이런, 경기부양 &'급행론&' 강조 - 연준 내 금리 인하 폭 놓고 의견차 뚜렷 - 파월 &'노동시장 하방 위험 커져&'…인하 시사 - FOMC, 10월 회의서 추가 인하 여부 결정 - &'올해 세 차례 0.25%씩 인하 필요&' 주장 - 월러 vs 마이런, 연준 내 &'빅컷 vs 신중론&' 격돌 Q. 지금 무엇보다, 코스피의 호재는 파월 의장의 QT 종료 시사라는 말이 있더라고요? 왜 그런 말이 도는 걸까요? - 파월 &'통화긴축 곧 끝날 것&'…QT 종료 시사 - 연준, 보유채권 매각 중단 시점 임박 - 파월 &'대차대조표 축소, 수개월 내 멈출 수도&' - 금리 인하엔 침묵…QT 종료 신호는 명확 - &'충분한 지급준비금 도달&'…QT 막바지 진입 - 연준, 6조달러 보유채권 축소 종료 초읽기 - 파월 &'유동성 경직 신호…QT 지속 땐 성장 저해&' - 시장, 연준 대차대조표 축소 종료 시점 촉각 - 연준 긴축 막바지…통화정책 전환 기대 확산 - 금리 인하 불투명하지만 QT 종료는 &'눈앞&' Q. 우리는 다음 주 한은 금통위가 열리잖아요? 시장에선 환율과 부동산 문제 때문에 이번에도 &'동결&'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많아요? 그런데 한미협상에서 통화스와프가 체결된다면, 또 달라질 거라는 이야기도 있더라고요? - 한은 금통위 &'동결 유력&'…환율·집값 부담 - 달러·원 1,400원대…금리 인하 쉽지 않다 - 부동산 상승세에 한은도 신중 모드 - &'연내 금리 인하 어려워&'…시장도 체념 - 통화스와프 기대감, 환율 안정 변수로 - 베선트 &'한국과 스와프 긍정적&' 발언 주목 - 정부, 서울·경기 12곳 &'규제지역&' 확대 - 무주택 LTV 40%·유주택 대출 중단 - &'스와프 있어도 지속성은 한계&' 전문가 지적 - 한·미, 3500억달러 대미 투자펀드 협의 진전 - 한은&–美 재무부 통화스와프 체결 방안 부상 - 베선트 &'내가 Fed 의장이라면 韓과 스와프&' - 위성락 &'무제한 한미 통화스와프, 진전 없다&' - &'美 재무부 스와프 협의, 잘 작동 안 돼&' - &'스와프는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 아냐&' Q. 뉴욕증시 이야기도 해볼게요. 또다시 &'지역은행 리스크&'가 불거졌는데, TSMC가 또 사상 최대 실적을 냈어도, 주가가 1.6% 하락하는 모습이더라고요. 이런 지역은행들의 연쇄 부실이 2023년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와 닮은 점이 있나요? - 美 뉴욕증시 또 급락…TSMC 호실적도 못 지켜 - 다이먼 &'바퀴벌레 한 마리 보면 더 있다&' 경고 - 자이언스·웨스턴얼라이언스, 부실 대출 여파 - &'바퀴벌레 한 마리면 더 있다&'…다이먼 경고 - 퍼스트브랜즈·트라이컬러 파산, 신용불안 확산 - 제프리스 10% 급락…투자은행으로 불안 번져 - KBW은행 ETF -3.6%…금융주 전방위 타격 - &'지역은행 공포 재점화&'…52주 고점대비 -16% - 연준 &'빅컷&' 가능성 부각…10월 50bp 확률 5% - 공포지수 VIX 22%↑…시장 변동성 급등 - &'실적보다 신용&'…美 증시, 불안심리 지배 Q. 최근 서학개미들의 투자 행보가 달라진 거 같아요? 최근 한 달간 서학개미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 중 M7 종목이 하나도 없더라고요. 오라클, 아이렌 등 &'AI 인프라 중심 투자&'로 옮겨갔다고 하는데…&'칩&'에서 &'인프라&'로 옮겨간 것, 단순히 가격 때문일까요? 또 다른 흐름일까요? - 서학개미, M7 대신 &'AI 인프라株&'로 이동 - 순매수 10위권에 M7 종목 &'전무&' - 아이렌 4억달러 순매수…주가 550%↑ - 비트코인→AI 클라우드 전환에 투심 집중 - 오라클, 클라우드 결합 시너지로 80% 상승 - 브로드컴, 오픈AI 계약으로 생태계 확장 - 월가, M7→M10·엘리트8 새 주도주 탐색 - &'AI 확산, 인프라株 중심 순환매 본격화&' - 서학개미 ETF &'KODEX·ACE&' 모두 순매수 전환 - &'칩에서 인프라로&'…서학개미 투자판 이동 Q. 어제, 닛케이225가 4만8천선을 돌파했어요? 공명당 탈퇴 충격으로 1240포인트 빠졌던 낙폭을 모두 만회했는데요. 자민당과 보수 성향 야당인 일본유신회가 연립정부를 구성한다는 소식에 다카이치 총리 지명 가능성이 다시 높아진 영향으로 보여요? - 닛케이 4만8277…정치 불확실성 완화에 급등 - 일본 증시, 자민당&–유신회 연정 논의에 안도 - 닛케이·토픽스 동반 상승…기술주 강세 주도 - 소프트뱅크 8.5% 폭등…지수 380P 끌어올려 - ARM·AI 훈풍에 일본 기술주 매수세 확산 - 공명당 이탈 충격 2일 만에 전 낙폭 회복 - &'다카이치 총리 유력&' 기대감, 증시 호재로 - 도쿄일렉트론·르네사스↑ 니덱·닌텐도↓ - 연준 긴축 중단 전망, 아시아 증시 훈풍 - 닛케이 상승 랠리…&'정치 안정+AI 기대&' 결합 Q. 그동안 서로의 주식을 팔아치우던 한·일 투자자들이 나란히 순매수로 돌아섰더라고요? 국내 투자자들이 일본 주식을 7개월 만에 다시 순매수하고, 일본 투자자들도 9월엔 한국 주식 1590억원어치를 순매수했어요? - 韓·日 투자자, 7개월 만에 동반 순매수 전환 - 국내 투자자, 일본 주식 279만달러 순매수 - 4월~8월 9억달러 순매도 후 &'매수 전환&' - 엔저·AI붐에 일본 반도체株 투자 급증 - 韓·日 투자자, 7개월 만에 동반 순매수 전환 - 韓 투자자, 일본 주식 279만달러 순매수 - 4~8월 9억달러 순매도 후 흐름 반전 - 반도체 슈퍼사이클, 한·일 자금 모두 끌어 - 키옥시아·레이저텍·어드밴테스트 &'핫픽&' 부상 - 엔저·완화정책 기대감에 日 증시 투자 확대 - 메타플래닛·스시로株 등 비IT주도 순매수 - &'日 종합상사 ETN 매수↑&'…간접투자 확산 - 日 투자자, 3개월만에 韓주식 1590억 순매수 - &'반도체+통화완화&' 한·일 증시 동반 랠리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
|
20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