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웅에 지갑 여는 중장년…10대 제치고 K팝 '큰손'
[임영웅(사진=임영웅 유튜브 채널)] 임영웅, 송가인 등 트로트 스타들의 인기에 힘입어 50대 이상 장년층이 K-팝 시장의 &'큰손&' 소비자로 부상했습니다. 오늘(12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간한 &'2012-2022 모바일 음악콘텐츠 이용 시간의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0~59세의 월평균 모바일 기기 음원 서비스 이용 시간은 19억8천만 분으로, 전 연령대를 통틀어 19~29세(55억9천만 분)와 30~39세(43억5천만 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습니다. 특히 통상 아이돌 그룹의 주 수요층으로 여겨지는 13~18세가 이용한 10억5천만 분의 약 2배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13∼18세는 2017년까지 20대에 이어 (음원 앱) 핵심 이용자층으로 자리해 왔으나 2017년부터 뚜렷한 이용 시간 감소세를 보였다&'며 &'지난해에는 50대가 13∼18세의 이용 시간을 상회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연령별 이용 시간 증가율을 살펴봐도 50∼59세 전년 대비 172.0% 음원 앱 사용 시간이 늘었고, 60∼69세 역시 205.2%로 13∼18세(증가율 146.8%)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장년층들의 음원 이용 시간이 급증한 것은 지난 2020년 트로트 오디션 열풍 이후 장년층 팬들이 대거 K-팝 시장으로 유입됐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임영웅을 필두로 김호중, 이찬원, 영탁 등 오디션 출신 트로트 가수들이 비단 트로트에만 머무르지 않고 발라드, 팝 록, 클래식 등 폭넓은 장르에서 활약하면서 막강한 구매력을 가진 장년층 팬들이 지갑을 활짝 열었습니다. 실제로 오늘(12일) 오전 10시 기준 국내 최대 음원 사이트 멜론의 &'톱 100&' 차트에 임영웅은 신곡 &'모래 알갱이&'(7위)를 비롯해 &'사랑은 늘 도망가&'(8위), &'우리들의 블루스&'(11위), &'다시 만날 수 있을까&'(13위) 등 무려 15곡을 진입시켰습니다. 이외에도 &'유튜브 음악 차트 및 통계&'에 따르면 23주 차(6월 2일 ~ 6월 8일) 국내 유튜브 인기 뮤직비디오 1위 역시 임영웅의 &'모래 알갱이&'였습니다. 팬덤의 &'화력&'을 측정하는 지표 가운데 하나인 한터차트 기준 첫 주 판매량 역시 임영웅(110만장)은 물론, 김호중(68만장), 이찬원(57만장), 영탁(52만장) 등이 수십에서 수백만 장의 앨범 판매고를 기록했습니다. 멜론에서 제공하는 가수와 &'팬 맺기&' 기능에도 50대 이상의 팬 화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임영웅(52%)·김호중(66%) 같은 트로트 오디션 출신 가수와 팬 맺기를 한 비중이 절반이 넘었습니다. 이 밖에도 방탄소년단(BTS) 12%, 세븐틴 10%, 블랙핑크 12% 등 K-팝 아이돌 그룹도 10% 이상이 50대 이상이어서 장년층의 존재감이 나타났습니다. K팝의 &'양 기둥&'으로 꼽히는 공연 시장에도 장년층의 활약이 보입니다. 예스24가 자체 집계한 연도별 콘서트 티켓 구매자 연령 데이터를 살펴보면 50대 이상 구매자 비율은 2019년 5.5%에서 지난해 9.7%로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지난해 예스24 콘서트 티켓 판매 상위 10위를 보면 NCT 드림(1위)과 NCT 127(2위)에 이어 임영웅(3∼4·6∼7·9∼10위)과 조용필(5위) 같은 장년층 관객이 많은 공연이 차지했습니다. 한편, 온라인 결제에 익숙지 않은 부모를 대신해 자녀가 예매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장년층 관객 비중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SBS Biz
|
문세영
|
2023.06.12